2. 인식 일반의 성립칸트는 합리론자들과는 달리 외부의 질료(Materie)가 주어져야 인식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모든 인식은 질료와 형식(form)을 갖는다. 질료는 인식되는 것, 형식은 질료를 인식하는 방법이다.질료가 외부에서 감각에 부여되려면 그것은 물 자체(Ding an Sich)에 의해 인식능력에 촉발된다. 즉 물자체와 그에 의해 촉발되는 인식 능력의 존재를 전제한다. 이렇게 외부의 것에 의해 촉발되는 능력 덕에 갖게 되는 감각이 감성(Sinnlichkeit)이다. 감성은 외부에 대해 감각을 가질 수 있는 수용의 능력이다. 감성의 형식이 순수직관(Anschauung)이다. 직관은 대상에 대한 직접적 표상을 제공한다. 곧 주관이 객관(대상)과 관계하는 것은 직관을 통해서이다.직관이 곧 인식을 전..
다음은 본인이 독일 관념론부터 맑스주의까지의 독일 철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2018년 10월부터 동학들과 진행한 세미나의 내용을 사전에 정리한 것이다. 주된 저본으로는 돌베개 출판사에서 나온 '철학의 철학사적 이해'를 사용했다.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 ~ 1804)] (1) 영국, 프랑스 등 서유럽과 달리 독일에서는 자본주의 발전이 더뎠고, 19세기까지 봉건적 생산관계들이 온존했다. 따라서 서유럽과는 달리 봉건제와의 혁명적 단절보다는 점진적 개혁을 원하는 철학들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자연과학의 측면에서 독일인들은 그 변화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었기에 많은 철학자들이 자연과학을 통해 세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도출하는 지점에서 그들의 연구를 시작하였다.(헤겔 법철학 비..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반교통방해
- 디아마트
- This War of Mine
- 예심판사
- 레닌
- 독일 관념론
- 국기모독죄
- 순수이성비판
- 사회주의
- 청년헤겔파
- 노년헤겔파
- 아탁
- 루카치
- 형이상학
- 11Bits Studio
- 유물론
- 최후진술
- 아딱
- 포이어바흐
- Rock Paper Shotgun
- 고진
- 임마누엘 칸트
- 헤겔
- 학림다방
- 변증법
- 분석판단
- 맑스
- 종합판단
- 당명
- 체르노비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