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54년 10월 25일, 크림 전쟁의 발라클라바 전투에서 있었던 영국 육군 경기병 여단의 돌격에 대한 시. 당시 쓰여진 테니슨 경의 육필 원고에 의거하여 번역했다. 알프레드 테니슨(1809-1892) 1. 반 리그만, 반 리그만, 반 리그만 더 앞으로, 죽음의 계곡으로 6백명은 나아갔다. “경기병 여단, 전진! 포대를 향해 돌격!” 그가 외쳤고. 죽음의 계곡으로 6백명은 나아갔다. 2. “경기병 여단, 전진!” 단 하나라도 동요한 이가 있었는가? 그럼에도 병사들은 알았으리라 누군가 실수했다는 것을. 그들은 토를 달지 않는다 그들은 이유를 묻지 않는다 그들은 그대로 행하고 죽을 뿐. 죽음의 계곡으로 6백명은 나아갔다. 3. 오른쪽에는 대포, 왼쪽에도 대포, 앞에도 대포 우레같은 일제사격에 포탄과 파편이 ..
https://blog.naver.com/hirdmann/220011866154 에서 앞부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건 해당 단편의 결말 부분입니다. 큰 그림에서는... 1. 멀리서 본 테라니스최고 사령관 알렉시스는 그 앞에서 빛나는 초록색 홀로그램 점을 살펴보며 수염을 긁고 있었다. 점들은 항성과 행성들을 나타내는 것이었고, 선은 행성들 사이의 워프 항로와 폭풍 등 이상현상들을 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한 켠에 하이브 플릿 ‘크라켄’의 분함대를 표시하는 촉수가 있었다. Ichar 4에서 하이브 플릿의 주력은 분쇄되었지만 상당한 수의 타이라니드들은 이제 통제되지 않은 채로 표류하고 있었다. 최고 사령관 알렉시스는 제국의 다른 적들처럼 이 분함대도 결국엔 패배하리라 자인했지만, 그동안 사라진 행성들을 생각..
(키예프 동지들에게 보내는 편지)친애하는 동지들!관심있는 책들의 10분의 1도 못 읽는다고, 어떻게 하면 시간을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지 물었지요. 참 어려운 질문입니다. 왜냐하면 이 문제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개인적으로 해결책을 내는 수 밖에 없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오늘날의 과학이나 정치, 아니면 다른 분야 책들을 섭렵할 수 있는 능력의 많고 적음은 올바른 시간 배분의 문제 뿐 아니라, 그 사람의 훈련 정도에도 달려 있습니다.여러분이 특별히 청년 당원들이라 언급했으니 말이지만, 너무 서두르지 말고, 이 주제 저 주제 널뛰면서 한 번에 너무 많은 걸 하려고 하지 말라는 것, 그리고 한 책을 제대로 읽고 숙고해서 통달할 때 까지 다음 책으로 넘어가지 말라는 것 정도가 여러분께 제가 할 수 있는 충고입..
가라타니 고진 전집(도서출판 b)의 '근대문학의 종언' 장을 정리해 보았다. 괄호와 들여쓰기는 작성자의 것 - 야우리 가라타니 고진 1. 문학이 근대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았고, 그 때문에 특별한 중요성, 특별한 가치가 있었지만 그것은 이젠 사라졌다. 근대문학의 대명사는 소설이다. 따라서 근대문학이 끝났다는 것은 소설 또는 소설가가 중요했던 시대가 끝났다는 뜻이다. 사르트르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사르트르는 그의 저서 ⟨문학이란 무엇인가⟩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문학은 한마디로 말하자면 영구혁명 안에 있는 사회의 주체성(주관성)이다.” (사르트르,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이것은 혁명정치가 보수화되고 있을 때, 문학이야말로 영구혁명을 담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에크리튀르 개념의 출현은 ..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작 ⟨니코마코스 윤리학⟩ 에서 행복에 대해 이야기한다. 제1권 1장에서 ‘좋음(선)이야말로 당연히 모든것이 추구하는 목표다. 그러나 그것들의 목적들(telos)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어떤 것들은 활동(energia) 자체가 목적이지만, 어떤 것들은 활동에 수반되는 결과(ergon)가 목적이기 때문이다. 활동에 수반되는 목적이 있을 경우 결과는 당연히 활동보다 우월하다.’ 1-4 ‘실천적인 좋음들 가운데 최고선은 무엇인지 논의해보자… 대중도 교양인들도 그것을 행복(eudaimonia)라고 부른다.’ 1-5 ‘삶에는 세 가지 두드러진 유향이 있는데, 향락적인 삶(라틴어 vita voluptatis, 욕망이 이끄는 대로 사는 삶)과 정치가의 삶(bios praktikos, 라틴어 vi..
인터넷에서 우연히 이 초단편에 대한 이야기를 읽었다. 소화 46년(1971년) 최초 발간된 축마서방 판⟨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전집 제4권⟩을 저본으로 하며,Charles De Wolf 의 영문 번역을 참조하여 직접 번역하였다. - 야우리 그는 청년 사회주의자였다. 하급 공무원인 그의 아버지는 이 때문에 그와 의절하겠다고 위협했지만 그가 품고 있는 불타는 정열과 얼마간은 친구들의 격려 덕에 그는 굴하지 않을 수 있었다. 그들은 조직을 결성하여 십여 페이지 짜리 소책자를 발간하고, 강연회를 개최하는 등 이런저런 활동들을 했다. 물론 그는 회합에 절대 빠지지 않았으며 가끔 그의 논문들이 소책자에 발표되기도 했다. 그런 소책자들은 그들 주변을 빼면 그닥 읽히는 것 같진 않았지만, 그는 ⟨리프크네히트를 회상하며⟩라..
번역 출처: 디씨인사이드 대체역사 갤러리 5월 29일, 창세 이후 6961년(서력 1453년) 먼 곳에서 대포가 지옥의 야수마냥 으르렁거렸다. 가까운 곳에선 사방에 검과 창 부딪히는 소리, 그리스어, 이탈리어어, 터키어로 된 신음과 비명소리, 그리고 연기와 절망의 악취가 가득했다. 오스만 인들이 콘스탄티노플에 들어와 있었다. 만 도시의 여왕, 새로운 로마, 제국의 천년 수도가 함락되고 있었다. 투구를 쓰지 않은 나이 든 남자가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으로 달려갔다. 사제들은 여전히 그 곳에 모여 오지 않을 구원을 기도하고 있었다. 그 중 한 명이 방금 온 사람에게 고개를 숙였다. "폐하, 승산이...?" 그는 말을 시작하다가 이내 멈췄다. 질문을 말로 꺼내기도 두렵다는 듯이. 나이 든 남자가 대신 말했다. ..
Song - To the Men of EnglandPercy Bysshe Shelly Men of England, wherefore plough For the lords who lay ye low? Wherefore weave with toil and care The rich robes your tyrants wear? Wherefore feed and clothe and save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Those ungrateful drones who would Drain your sweat—nay, drink your blood? Wherefore, Bees of England, forge Many a weapon, chain, and scourge, That these ..
출처; http://chinahumanitas.net/?bwl_kb=노라는-떠난-후-어떻게-되었는가 1923년 12월 26일 베이징여자고등사범학교 문예회에서의 강연(娜拉走后怎样——一九二三年十二月二十六日在北京女子高等师范学校文艺会讲) 我今天要讲的是“娜拉走后怎样?” 제가 오늘 이야기하려는 것은 “노라는 떠난 후 어떻게 되었는가?”입니다.易卜生〔2〕是十九世纪后半的瑙威〔3〕的一个文人。他的著作,除了几十首诗之外,其余都是剧本。 입센은 19세기 후반 노르웨이의 한 문인입니다. 그의 저작은 시 몇 십 수를 제외하고 그 나머지는 모두 극본입니다. 这些剧本里面,有一时期是大抵含有社会问题的,世间也称作“社会剧”,其中有一篇就是《娜拉》。 이들 극본 속에는 어느 한 시기에 대체로 사회문제들이 담겨 있는데, 세상 사람들은 ‘사회극’이라고..
출처: https://www.additudemag.com/adhd-vs-bipolar-a-guide-to-distinguishing-look-alike-conditions/ 에이앱에서 활동하시는 홀랑 님이 이 글의 초반과 중반을 번역해 두셔서 나머지를 번역하였습니다. 괄호는 모두 제가 부연설명한 부분입니다. 초중반 부분은 다음의 링크를 확인하세요. http://a-app.co.kr/%EC%9D%98%EC%82%AC%EA%B0%80-%EC%A0%9C%EC%8B%9C%ED%95%98%EB%8A%94-%EC%96%91%EA%B7%B9%EC%84%B1-%EC%9E%A5%EC%95%A0%EC%99%80-adhd%EB%A5%BC-%EA%B5%AC%EB%B3%84%ED%95%98%EB%8A%94-%EB%B0%A9%E..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회주의
- 독일 관념론
- 순수이성비판
- 종합판단
- 분석판단
- 루카치
- 당명
- This War of Mine
- 디아마트
- 맑스
- 고진
- 학림다방
- 포이어바흐
- 최후진술
- 헤겔
- 일반교통방해
- 아딱
- 노년헤겔파
- 레닌
- Rock Paper Shotgun
- 예심판사
- 변증법
- 국기모독죄
- 청년헤겔파
- 체르노비치
- 11Bits Studio
- 임마누엘 칸트
- 유물론
- 형이상학
- 아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