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9월 9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지난 2015년 민주노총 총파업 집회 관련 일반교통방해 재판 최후진술이 있었습니다. 검사는 벌금 200만원을 주문했고 변호사는 당시 교통이 이미 경찰에 의해 막혀 있었던 점, 제가 주최자가 아닌 단순 개인 참가자라는 점을 들어 헌법에 보장된 권리를 행사했을 뿐이니 무죄를 주장했습니다. 1심 선고는 오는 28일 오전 10시 서울중앙지법에서 있습니다. 판사의 성격과 정황으로 볼 때 무죄판결은 어려울 것 같고 벌금이 감액되거나 할 듯 싶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민주노총 구제금이 지난 민중총궐기 사건 때문에 많이 부족해져서 벌금을 지원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모금을 해야 하려나 봅니다. 다음은 제 최후진술 전문입니다. 2016고정1458 일반교통방해 1심 최후진..
길음2재정비촉진구역 - 신동옥 기리물골, 기레미골, 기리물골...골짝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소리가 맑고 고와서 길음이라고 썼단다. 북한산 모과나무 산등성이를 돌아 삼각산 납작집 돌무덤 위로 구름이 한덩이씩 흘러내리는 빗소리를 들으며 그 길음, 속에서 나는 한 여자에게 고백했다. 그해 겨울엔 가뭄이 길었고 봄엔 내내 햇무리 했지. 다시 여름이 오고 누구랑 누구랑 결혼을 한다기 진땀을 빼며 찾아갔더니 북한산 모과주 기막힌 한상차림 잔칫상에 취해 깨어난 것은 그녀와 나였다.이제 그녀와 나는 한집에 살지. 이 동네는 원래 길음이었는데 나중에 송천이 되었다고. 길음 물소리에 취해 자란 커다란 소나무 아래 맑디맑은 샘이 하나 있다 하여 송천이라고 썼단다.모두 모두 납작집이던 시절 누군가 지붕 위에 지붕을 해 얹고누군..
변증법적 유물론: 자연현상에 대한 접근법, 연구, 이해법이 변증법적이면서 개념과 이론이 유물론적사적 유물론: 사회생활과 역사의 연구에 변증법적 유물론의 원리를 적용한 것 1. 맑스주의 변증법적 방법의 주요 특징들A. 변증법은 형이상학과 다르게 모든 것이 연관되고 서로 의존적인 전체의 일부라고 설명한다.B. 변증법은 형이상학과 달리 자연이 끊임없는 운동과 변화의 상태에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변증법은 현상을 상호연관 뿐만 아니라 운동, 변화, 발전, 생성과 소멸의 관점에서도 고찰하고 있다.C. 변증법은 발전과정을 양적 변화가 질적 변화로 전화하는 과정으로 파악한다. 질적 변화는 비약(leap) 의 형태를 띠고, 점진적인 양적 변화가 축적되어 나타난다.D. 변증법은 모순이 모든 현상들에 내재한다고 본다. ..
전통맑스주의는 맑스의 연구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뜻하지 않으며 맑스주의 문제에서의 정통성이란 오로지 방법에만 관련된다. 1. 이론과 실천: 변증법적 방법의 의미'이론이 대중을 장악하는 순간, 그것은 물질적 힘이 된다.'- 이론의 실천적 본질이 이론과 그 대상의 관계로부터 전개되지 않으면 안 된다.=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뜻함-> 노동계급이 인식의 주체이자 객체가 되고 그래서 이론이 사회의 변혁과정에 직접적이고 적절하게 관여할 때이 때 이론은 본질적으로 혁명 과정의 사상적 표현이다. 그리고 주체와 객체 또한 상호간에 변증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결국 사적 유물론으로부터 변증법을 분리시키는 것은 사유와 존재를 분리시키는 것이고 이는 맑스주의의 폐기이다. 2. 사실과 총체성: 자연과학과 변증법위에서 ..
- 맑스와 엥겔스가 어떻게 헤겔 철학에서 출발하여 그것과 인연을 끊었는가? 1. 헤겔 철학, 그것이 잘한 것, 포이어바흐의 헤겔 철학 분석헤겔: '현실적인 모든 것은 이성적이며 이성적인 것은 현실(필연)적이다'-> 프로이센 국가=당시의 필연. 그러나 사람들의 생각이 발전하면 새로운 체제가 필연적이 되고 = 현실적이 된다.'존재하는 모든 것은 멸망하여 마땅하다' = 변증법 헤겔 철학은 절대적 진리나 절대적 상태가 존재한다는 관념을 타파했다. 그러나 사고방식의 보수성은 상대적이며, 대상의 혁명적 성격은 절대적이라는 오류를 범했다. 절대이념: 헤겔논리학의 종결체계. 그것은 자신을 외화시켜 자연이 되고 되돌아오기를 반복한다. 그럼 절대정신이 외화된 헤겔 시대가 역사의 종말인가? 체계:System. 절대이념과 같..
맑스의 교의는 독일 철학, 영국 정치경제학, 프랑스 사회주의, 즉 인간이 19세기에 창출한 최상의 것에 대한 계승이다. 1.맑스의 철학은 유물론이다. 그는 유물론과 변증법을 결합시켰으며 이를 과학과 다시 결합해 사적 유물론으로, 자연에 대한 인식이 인간 사회에 대한 인식을 포괄하도록 확장시켰다. 2.부르주아 정치경제학자들이 상품 사이의 관계를 보았다면 맑스는 사람 사이의 관계를 보았다. 화폐와 자본.노동자는 잉여가치를 자본가를 위해 보수 없이 창출한다. 자본주의는 전세계에서 승리했으나 이는 자본에 대한 노동의 승리를 알리는 전주곡일 뿐이다. 3.역대 많은 '사회주의' 이론들이 있었으나 맑스는 세계사의 교훈을 통해 계급투쟁이 역사의 동인임을 밝혀내었다.
어느 남성의 보스니아 내전 경험담.네이버 서바이벌리스트 카페 에서 번역.http://cafe.naver.com/survivalist/42022 원래는 http://www.survivalistboards.com/ 에 올라온 글이다.---------------- 이제 내가 겪었던 경험담을 나누었으면 좋겠다. (영어가 짧으니 이해해달라.)난 발칸 지역에 살고, 여러분도 알다시피 92-95년 그곳은 지옥이었는데, 나는 그 시기 인구 5~6만 정도 되는 어느 도시에서 1년간 전기, 연료, 상하수도, 식량 보급망, 그리고 기타 거의 모든 것을 입수할 수 없는 무정부 상태에서 살았다. 도시는 1년간 포위돼 있었으며 사실상 SHTF(Shit-hit-the-Fan: 재난이 들이닥친 상황) 상황이었다.우리에겐 조직적인 군..
원칙적으로 동의한다. 기본소득의 지급을 위해서는 - 자본가들이 순순히 자신들의 이윤을 내어줄 리 없으므로 이 글에 나온 것 처럼 세금 1조원 걷어가고 360만원 준다는데 - 혁명적 정세에 준하는 계급투쟁이 그 근본에 있어야 한다. 이미 기본소득론자들이 50%의 소득세를 주장한 이상 자본가들이 그것을 순순히 받아들일 리는 없다. 기본소득을 지급하라는 요구는 이행강령적 요구에 불과하며, 모든 것을 결정짓는 것은 결국 계급투쟁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노동자운동의 복원은 당연히 필요하다. 뭐 그것 말고는 난 원래 무상급식 반대론자니까 딱히 이야기할 거리는 없기는 하다. 어떻게 밥값도 못 내는 학생과 재벌 자녀가 똑같이 밥을 공짜로 먹을 수 있는가? 후자가 한 오십만원 내고 먹어야지.결론은, 기본소득 운동도 결국..
오늘 내가 앞으로 백년동안 놀림받을 만한 일이 있었다.공동행동이 끝나고 일식집에서 밥을 먹은 뒤 집에 갈 채비를 하고 있을 때,한겨레 21의 1천호 특집 표제를 보면서 "기본소득? 누가 한겨레 21 특집으로 기본소득을 넣자고 했을까? 홍세화?"라는 말을 마치 "여기 누가 쓰레기를 버렸지?" 하는 말투로 이야기했다. 아무도 대답이 없길래 "응? 응? 아는 사람 없어?" 했는데 갑자기 한 친구가 나를 철썩철썩 때리기 시작했다."??"하고 고개를 들어보니...홍세화 선생님이 나를 바라보며 옆에서 걸어가고 계셨다. 으...친구들에게 한바탕 놀림을 당하고 난 뒤에 담배를 태우고 있는 선생님께 가서 저는 말은 그렇게 했지만 선생님을 아주 존경하는 대학생이며 선생님의 저서도 다 읽었다고 이야기하니 "허허 뭐라고 했어..
ATTAC(Association for the Taxation of financial Transactions and Aid to Citizens – 금융거래과세와시민지원을위한연합) 의 활동과 그 한계 권용석 금융거래과세와시민지원을위한연합(이하 ‘아딱’ 이라 한다) 은 1998년 프랑스 ‘르 몽드 디쁠로마띠끄’ 의 ‘시장을 무장해제하라’ 라는 기사로부터 자극을 받은 지식인들의 행동 지향적인 대중적 시민교육운동으로 출발하였다. 그 사회적 배경에는 1995년 주뻬 총리가 주도했던 신자유주의적 사회보장제도개약에 맞서 시민대중이 벌인 공공부문 대투쟁이 있었다. 파업은 주뻬 총리를 굴복시켰고, 그동안 공산당과 노동조합의 구태의연한 선전선동에 질려 있었던 시민대중들이 이후 프랑스 사회운동의 핵심 투쟁 세력이자 동력으..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물론
- 학림다방
- 루카치
- 종합판단
- 맑스
- 청년헤겔파
- 사회주의
- Rock Paper Shotgun
- 레닌
- 순수이성비판
- 디아마트
- 일반교통방해
- 국기모독죄
- 아딱
- 아탁
- 당명
- 최후진술
- 노년헤겔파
- 11Bits Studio
- 분석판단
- 변증법
- 임마누엘 칸트
- 포이어바흐
- 고진
- 체르노비치
- 독일 관념론
- This War of Mine
- 형이상학
- 예심판사
- 헤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