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화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편을 이제야 봤다. 예의 그 "유행하는 것은 유행이 일단 지나간 뒤에 즐기기를 좋아하지요." 라는 구절을 꺼내려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이것은 내 유년시절에 대한 '공식적인' 작별인사라고 해야겠다.
'우리 세대의 빌둥스로망(Bildungsroman), 이제 정말로 너희 삼총사를 보내 줄 때가 왔구나.'
거의 10년을 미뤄두었다. 피터팬 증후군 같은 것일까, 내 10대 시절을 오롯이 함께 보낸 해리포터 시리즈가 이렇게 끝나버리면 내 무언가도 함께 끝나버릴것만 같았다. 해리 포터 시리즈의 완결을 보기 위해 삶을 이어나갔던 때도 있었기에.
삶의 이유를 잘 찾지 못했던 스무살 때의 나는 그렇게 해서라도 삶을 연장시키고 싶었다. 삶의 이유가 조금 더 생기고 유년시절에 작별을 고하고 싶을 때 자연스럽게 보게 될 것이라 다짐했다.
27세 생일이 지나고 나서야 가능해진 일이다. 그랬지. 스물일곱이 넘으면 삶에 책임질 것들이 생겨나기 때문에 사람들이 죽는 거라고. 재생 버튼을 누르고서야 깨달았다. 이제 내 유년시절은 끝이라고. 모든 질문에 답을 보여주고 책임을 대신 져줄 덤블도어는 더 이상 없다고. 그 깨달음은 갑작스럽게 와버렸다. 세베루스 스네이프의 죽음 또한... 최근 누군가의 죽음을 떠올리게 했다. 이에 대해 말을 길게 할 필요는 없으리라.
해리 포터 시리즈가 결말을 통해 이야기했던 것은 내면의 용기와 지고지순함 그리고 그것을 믿는 이들, 친구들, 그것만이 앞으로 가져갈 수 있는 유년시절의 편린들이라는 사실이다. 책임 또한 함께다.
그 시절에 비하자면 삶의 이유가 부족하지는 않은 것 같다. 정말 다행이다.
'당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속에서의 대화 (0) | 2019.11.24 |
---|---|
16세의 소녀 봉제공 엠마 리이스 (2) | 2019.10.30 |
7월에 크게 깨닫다 (0) | 2019.07.19 |
3. Telefónica (0) | 2019.02.20 |
0. Lavapies (0) | 2019.02.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형이상학
- 청년헤겔파
- 아딱
- 사회주의
- 고진
- 맑스
- 일반교통방해
- 루카치
- 체르노비치
- 11Bits Studio
- 종합판단
- 디아마트
- 독일 관념론
- 아탁
- 순수이성비판
- 노년헤겔파
- This War of Mine
- 학림다방
- 레닌
- 예심판사
- 당명
- 유물론
- 변증법
- 헤겔
- 임마누엘 칸트
- 최후진술
- Rock Paper Shotgun
- 국기모독죄
- 포이어바흐
- 분석판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